네이처리 노트
[javascript] 내장객체 math 본문
728x90
반응형
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
절대값 Absolute Number
음수 -5의 절댓값은 양수 5고, 그냥 양수 5의 절댓값은 그대로 양수 5가 된다.
console.log(Math.abs(-10)); //10출력
최대값 Maximum
파라미터로 여러 수를 넘겨주면, 그중 가장 큰 값이 리턴된다.
console.log(Math.max(2, -1, 4, 5, 0)); //5출력
최소값 Minimum
파라미터로 여러 수를 넘겨주면, 그중 가장 작은 값이 리턴된다.
console.log(Math.min(2, -1, 4, 5, 0)); //-1출력
거듭제곱 Exponentiation
Math.pow(x, y)를 하면 x의 y승(x를 y번 곱한다)의 결과값이 리턴된다.
console.log(Math.pow(2, 3)); //8출력
제곱근 Square Root
'제곱'의 반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5의 제곱이 25이기 때문에, 25의 제곱근은 5입니다.
Math.sqrt(x)를 하면 x의 제곱근이 리턴된다.
console.log(Math.sqrt(25)); //5출력
반올림 Round
Math.round(x)를 하면 x의 반올림된 값이 리턴된다.
소수점 부분이 0.5 이상이면 가장 가까운 정숫값으로 올라가고,
소수점 부분이 0.5 미만이면 가장 가까운 정숫값으로 내려갑니다.
console.log(Math.round(2.49)); //2출력
console.log(Math.round(2.5)); //3출력
버림과 올림 Floor and Ceil
Math.floor(x)을 하면 x의 버림 값, Math.ceil(x)을 하면 x의 올림 값이 리턴
console.log(Math.floor(2.8)); // 버림값 > 2출력
console.log(Math.ceil(2.4)); // 올림값 > 2출력
난수 Random
Math.random을 하면 0 이상 1 미만의 값이 랜덤으로 리턴된다.
console.log(Math.random()); //0.123245623 (random출력)
컴퓨터 오류
컴퓨터가 2진법으로 계산하고 무한소수가 생기는 경우,
자동으로 올림해서 미세한 오차,오류가 생길 수 있다.
let num = 0.1 + 0.2;
console.log(num); //0.30000000004 출력
console.log(sum.toFixed(1)); //해결1
console.log(Math.round(sum * 10) / 10);//해결2
728x90
반응형
'개발기록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regex 정규표현식으로 email 형식 확인하기, 숫자 문자 추출하기 (0) | 2022.09.06 |
---|---|
[javascript] 날짜, new Date(), timestamp, date 형변환과 사칙연산 (0) | 2022.09.06 |
[javascript] 진수표기법, 소수점고정, 진수로 변경 (0) | 2022.09.06 |
[javascript] 배열 array 기본기 (0) | 2022.09.05 |
[javascript] 기본형과 참조형 (배열복사, 객체복사) (0) | 2022.09.05 |
Comments